컴퓨터 USB 포트에 꽂았는데 하드가 뜨지 않는가요?
외장하드가 인식이 안될 때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?
우선 예상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.
1. 전원공급문제
2. 외장하드 케이스문제
3. 외장하드 자체문제
그럼 각각의 경우를 정리해보겠습니다.
1. 전원공급문제 [외장하드 인식이 안되요]
전원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면, 외장하드 전면의 LED 부분에 빨간색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.
아니면 삐~이 하는 소리가 케이블을 연결하자마자 날 수 있습니다.
이 경우는 외장하드에 전원공급이 원활하지 못해서 그럴 수 있으니,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여 잘 되는지 확인하기 바랍니다.
혹시 컴퓨터 전면에 USB 케이블을 연결했다면 그것이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.
대개 컴퓨터의 전면부 USB포트들이 메인보드의 한 개 USB포트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.
즉 한개에서 여러개로 나누어지므로 이런 문제(전원부족)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가능하면 후면부의 USB 포트에 연결할 수 있겠죠
이와 동일한 이유로, USB 허브를 사용하고 계시다면 그것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.
다음으로 USB 케이블이 너무 길다면 전력손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짧은 것이 좋습니다.
그리고, 해결책으로 Y자 케이블을 사용해서 주,보조를 모두 컴퓨터에 연결함으로 전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(지원되는 외장하드여야 합니다. 대개 이전의 외장하드는 전력소모가 많으므로, 이렇게 2개의 케이블을 지원했습니다.)
이렇게해서 해결된다면 다행히 외장하드 문제는 아니겠죠.
2. 외장하드 케이스문제 [외장하드 인식이 안되요]
전원공급문제가 아닌것으로 여겨진다면 외장하드 또는 케이스문제가 됩니다.
연결시 컴퓨터에서 아예 아무 반응이 없다면 이 경우일 수 있습니다.
확인 방법이 까다롭긴 하지만...... 이 경우 외장하드를 케이스에서 분리해, 다른 케이스에
넣어보거나 컴퓨터 내부에 설치해서 정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. 외장하드 자체문제 [외장하드 인식이 안되요]
외장하드 자체문제라면 가장 좋지않은 상황인데요.
단순히 포맷해버렸다면 디스크지니어스, 파이널데이터 등의 하드복구프로그램을 써볼 수도 있습니다.
그것이 아니고 하드가 갑자기 안된다면, 그리고 중요한 데이터가 있다면 복구업체에 맡겨야 될 수 있습니다.
물론 고가의 비용이 듭니다.